부동산거래신고 이력조회 및 부동산 실거래가 조회하는 방법

부동산거래신고 이력조회 및 부동산 실거래가 조회란?

 

부동산거래신고 이력조회
'부동산거래신고 이력조회'는 부동산거래신고를 마친 본인의 부동산(토지 및 건물)의 이력을 조회하는 서비스인데요. 이 서비스는 이력조회뿐만 아니라 해당 '부동산거래 신고필증'의 조회 및 인쇄, PDF 파일 저장, 팩스 등도 보낼 수 있습니다. '부동산 실거래가 조회'는 부동산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서 가능한데요. 실거래를 쉽고 편리하게 조회하고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은 부동산거래신고 이력조회와 부동산 실거래가를 확인하는 방법을 자세히 소개해드립니다. 

 

부동산거래신고 이력조회

 

1. 국토교통부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에 접속 후 오른쪽 상단의 "로그인" 버튼을 누릅니다. 로그인 과정인데요. 성명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고 "간편인증로그인"이나 "공동인증서로그인" 버튼을 누릅니다. 로그인은 개인, 법인, 외국인, 외국법인, 재외국민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

 

2. 간편인증 중 민간인증서 선택, 본인인증 정보 중 이름과 주민등록번호(자동입력), 휴대폰 번호 입력, '서비스 이용에 대한 동의'는 '전체동의'에 체크를 한 뒤 "인증 요청" 버튼을 누릅니다.  

 

인증 요청

 

3. 간편인증 순서는 앱에서 인증요청 메시지 확인 → 간편인증(비밀번호 등) → 인증완료 후, 하단의 인증완료 클릭하시면 됩니다. 

 

간편인증 진행 중

 

4. 휴대폰의 카카오톡 지갑으로 인증요청이 오면 "인증하기" 버튼을 누릅니다. 

5.. 카카오 인증서로 인증합니다. '개인정보 제3자 제공 동의' 항목 등에 체크를 한 후 "인증하기" 버튼을 누릅니다.  

6.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인증이 완료됩니다. 

 

7.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으로 돌아와서 "인증 완료" 버튼을 누릅니다.

 

인증완료

 

8. "부동산거래신고 이력조회"를 누릅니다. 단, 부동산거래신고 이력조회는 '부동산거래신고'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부동산거래신고 이력조회

 

9. '신고이력조회' 화면으로 들어왔습니다. 검색기간을 설정하면 그 기간 중 부동산거래신고한 이력을 조회할 수 있는데요. 본인이 매도한 부동산뿐만 아니라 매입한 부동산도 검색이 됩니다. 해당 부동산 오른쪽의 "신고필증"을 클릭합니다.

 

신고이력조회

 

10. 부동산거래 신고한 신고필증의 내용을 자세히 확인할 수 있고 왼쪽 상단의 A라고 쓰인 인쇄 아이콘을 누르면 부동산거래계약 신고필증을 인쇄, PDF 저장, FAX로 보낼 수 있습니다.

 

부동산거래계약 신고필증

 

부동산 실거래가 조회

 

1. 국토교통부 부동산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접속 후 상단이나 하단의 아파트, 연립/다세대, 단독/다가구, 오피스텔, 토지, 분양/입주권, 상업/업무용, 공장/창고 등 중 하나를 클릭합니다. 

 

부동산 실거래가 조회 아파트

 

2. 네이버지도에서 왼쪽 상단 연도(2006~2025)와 지번주소(또는 도로명 주소) 선택, 단지명을 입력해 검색할 수 있습니다. 

 

연도 지번주소 단지명으로 검색

 

3. 저는 경희궁자이(2단지) 아파트를 클릭해 보았는데요. 아파트의 전용면적, 계약날짜, 거래금액(만원), 층수, 거래유형, 전산공부 등을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전산공부는 토지이용 계획 확인원, 토지대장, 건축물대장의 간단한 내용 등을 확인이 가능합니다. 

 

경희궁자이(2단지) 아파트

 

함께 보면 좋은 글

 

 

Designed by JB FACTORY